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D 사업계획서에서 사업화 실적 및 국내외 시장규모

by interpreter 2023. 4. 1.
반응형

Pixabay로부터 입수된 Mediamodifier님의 이미지

R&D 사업계획서에서 사업화 실적과 국내외 시장규모는 두가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재를 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사업화 실적은 기업이 R&D를 지원받은 후 개발기술을 사업화하여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를 보는 것이다. 이미 사업화한 경험이 있고 성공한 경험이 있다면 개발기술을 활용하여 사업화할 충분한 능력을 보유한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국내외 시장규모는 개발기술의 사업적 가치를 보는 것이다. 아무리 훌륭한 기술이어도 시장이 너무 적거나 시장이 아직 형성 단계인 경우 개발기술의 사업화는 매우 어렵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때문에 시장규모에 대한 부분은 개발기술이 그 만큼의 예산을 투여하여 개발 할 사업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사업화 실적

 

R&D 사업계획서에서 사업화 실적은 초기 창업기업은 없을 수 있으므로 해당사항이 없고 기업이 이미 사업화 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화 연도와 품목명 별로 정리하여 주어진 표에 작성한다. 이때 현재 제시하고 있는 개발기술과 연관이 있는 사업화 실적은 어느정도의 성과가 있는 경우 기재하는 것이 좋다. 다만 성과가 거의 없거나 실패한 사례의 경우 기재 여부는 판단해야 한다. 당시에 유사한 품목의 제품을 개발하여 유통시켰으나 실패한 경험이 있지만 현재는 관련 실패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아내어 적용한 경우는 기재하는 것이 좋으나 실패이후 별다른 조치가 없는 경우는 제외하는 것이 좋다. 

작성방법은 사업화 연도별로 우선 정리하고 연도별 품목명을 기입한다. 다만 너무 오래된 것은 제외하고 최근 5년 이내의 실적을 기재한다. 품목의 용도는 고객의 입장에서 기재한다. 예를 들면 카본블랙을 입힌 형상이 가미된 필름이라고 쓰면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이경우 보안필름 정도로 고객에게 전달했던 용도로 기재한다. 

다음은 품질 및 가격경쟁력이다. 품질은 결국 개발능력을 의미한다. 과거에 이미 국내에서 상위를 다투거나 세계시장에서 경쟁이 가능한 정도의 품질 수준으로 제품을 공급한 이력이 있다면 더 이상의 개발 능력에 대한 설명은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를 시장내의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작성하는 것이 좋다. 다만 정량적으로 측정가능한 근거를 제시 할 수 있어야 한다. 가격경쟁력은 개발했던 기술의 사업화 가능성을 보는 것이다. 물론 세계 최초의 기술이라면 아무리 비싼 값을 주더라도 판매가 일어날 것이고 가격에 대한 경쟁력 자체가 평가의 의미를 갖지 못한다. 하지만 아마도 그런 기술을 가진 기업은 거의 없을 것이므로 시장에서 이미 활동하고 있는 경쟁사를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이 좋다. 도매가격이든 소매가격이든 같은 기준으로 비교를 하고 어느 정도의 격차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면 제조 및 공정기술의 우수함을 증명하는 것으로 개발기술뿐만 아니라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도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수출여부는 세계시장에서 사업화를 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답이 될 것이다. 수출이 있는 경우 나라와 금액 정도를 적으면 기술수준에 대한 평가와 세계시장에 대한 사업화 경험을 모두 인정받을 수 있다. 판매 채널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를 적되 나누어 적는다. 이는 유통채널을 얼마나 가지고 있고 또 개발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제품이 나올경우 소비자와의 접점을 어느정도 가져 갈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로 생각하면 된다. 

 

국내외 시장규모

 

국내외 시장규모는 이미 예상 총매출액을 작성할 때 시장조사를 통해 어느정도 자료가 수집되어 있다. 객관적 근거가 이미 존재함에 따라 작성의 어려움을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시 한번 간략히 반복하면 선행연구, 뉴스, 해외시장조사, 국내 시장조사, 소비자 또는 고객조사 결과 등을 활용한다. 다만 통계청, 한국무역협회, KOTRA 등 공개 정보를 많이 활용하고 공개된 정보가 수집이 어려운 경우 유사한 자료를 발췌하여 논리성을 갖춘 추정치를 기입하는 것이 좋다. 

국내 시장규모는 공개 정보외에 온라인 스토어의 입점 기업 수 또는 판매자 수를 가지고 유추할 수도 있다. 세계 시장규모는 아마존, 알리바바 등의 세계적 온라인 마켓을 활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작성요령

 

사업화 실적은 근거가 명확하기 때문에 취사선택이 있을 뿐 사실 그대로를 적어야 한다. 하지만 국내외 시장규모는 어느정도의 추정치가 허용됨에 따라 되도록이면 유사한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라면 시장규모가 커보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댓글